MTH1901 | 일반수학 1 (Calculus 1) |
---|---|
일반수학 I은 고등학교에서 배운 함수의 극한, 연속, 미적분과 그의 응용들을 살펴보고 대학수학에서 기본적으로 다루어지는 다양한 유형의 함수의 미분과 적분의 기법을 배운다. 나아가 무한급수의 수렴 여부에 대한 여러 가지 판정법을 다루고 난 후, 함수의 멱급수 표현인 테일러 급수와 이와 연관된 내용들을 배운다. |
MTH1902 | 일반수학 2 (Calculus 2) |
---|---|
극좌표, 공간도형 및 공간벡터, 편도함수, 다중적분, 주면 및 구면 좌표계 그리고 그린 정리와 스톡스 정리 등에 대해서 공부한다. |
PHY1901 | 물리학 1(Physics1) |
---|---|
역학의 기본이 되는 뉴턴의 법칙을 중심으로 그 원리를 이해하고 물체의 직선 및 곡선 그리고 원운동을 해석하는데 적용시키며 강체의 운동과 고체, 유체 및 파동 등으로 확장한다. 그리고 기체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열 물리 기초를 공부한다. |
PHY1902 | 물리학 2(Physics2) |
---|---|
2학기에는 전자기학, 광학, 양자역학, 상대성이론 그리고 핵물리에 대한 기본적인 원리와 그 응용에 대해 공부한다. |
PHY1903 | 물리학실험 1(Physics Lab.1) |
---|---|
기초 물리학의 기본이 되는 이론과 이론의 실제적 상황에 대한 적용을 이해한다. 1) 예비보고서 작성을 통해 기초 이론을 습득하고, 2)본인이 직접 실험실습 과정에 참여하여 실제 상황을 체험하고, 3) 결과보고서를 통하여 이해한 내용을 정리함으로써 체계적인 지시고가 경험을 습득한다. |
PHY1904 | 물리학실험 2(Physics Lab.2) |
---|---|
대학물리2의 냉요인 전기와 자기 전기회로, 광학, 양자론에 관한 기초 실험을 수행한다. |
EEC2110 | 선형대수(Linear Algebra) |
---|---|
벡터의 개념, 일차연립방정식의 풀이법, 행렬 연산, 벡터공간, 동역학계의 소개, 고유값과 고유벡터, 선형변환, 차원과 구조, 대각화에 관련된 이론을 다룬다. |
ACE2901 | 공업수학 1(Engineering Mathematics I) |
---|---|
공학문제의 해결을 위한 정량적인 도구로서 상미분 방정식과 벡터해석을 다룬다. 이에는 1, 2차 및 고차의 상미분방정식, 연립상미분방정식, 급수해법, 라플라스 변환, 벡터함수의 미적분 등이 포함된다. 본 과목은 공학에서 널리 쓰이는 도구 과목의 성격을 가지므로 엄밀한 수학적인 접근보다는 주로 계산 방법과 공학적인 문제에 대한 수리적 방법을 다루어 응용수학적인 관점에서 접근한다. |
ACE2902 | 공업수학 2(Engineering Mathematics II) |
---|---|
공학문제의 해결을 위한 정량적인 도구로서 Fourier 급수 및 변환, 편미분 방정식, 복소수 및 복소함수의 미적분 등을 다룬다. 본 과목은 공학에서 널리 쓰이는 도구 과목의 성격을 가지므로 엄밀한 수학적인 접근보다는 주로 계산 방법과 공학적인 문제에 대한 수리적 방법을 다루어 응용수학적인 관점에서 접근한다. |
CHM1923 | 일반화학(General Chemistry) |
---|---|
화학의 기본원리와 응용분야를 심도있게 소개하고, 우리 주위에서 일어나는 자연현상을 화학의 기본개념을 적용하여 설명한다. |
CHM1927 | 일반화학실험(General Chemistry Lab.) |
---|---|
우리 주변의 모든 물질의 성질과 반응을 연구하는 화학은 우리 생활의 모든 면과 깊은 관련이 있다. 특히 21C 정보 및 지식 산업사회에서 화학은 핵심지식의 위치를 차지할 것이기 때문에 자연 과학이나 공학을 배우는 모든 학생들에게 필수적이다. 각각의 흥미로운 실험을 통하여 학생들이 화학의 의미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
EEC2100 | 기초실험 1(Basic Experiment 1) |
---|---|
본 과목에서는 전자회로에서 배운 각종 수동 소자와 능동소자를 이용하여 기본적인 회로들을 구성함으로써 전자공학도의 기본 소양을 쌓는다. RLC 및 DIODE를 이용한 회로를 직접 구성하여 교과서의 이론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분석한다. |
EEC2101 | 기초실험 2(Basic Experiment 2) |
---|---|
NI ELVIS는 하나의 완전한 실험장치를 구성하기 위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결합시켰으며, 실험실에서 많이 사용하는 실험장치의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LabVIEW 기반 소프트웨어 도구, 다기능 DAQ 소자, 워크스테이션(benchtop workstation), 표준기판(prototyping board) 등을 사용한다. NI ELVIS 워크스테이션 및 DAQ 소자와 상호 작용하도록 하는 LabVIEW 소프트웨어는 가상실험장치에서 요구되는 정교한 표시 기능과 해석 능력을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높은 수준의 프로그래밍 환경을 제공한다. NI ELVIS 하드웨어는 워크스테이션으로부터 함수발생기(Function Generator)와 가변 전원공급장치(Variable Power Supplies)를 제공하며, DAQ 소자의 기능과 결합된 NI ELVIS LabVIEW 소프트웨어 전면 패널(soft front panel: SFP) 장치들은 아래의 기능들을 제공한다. |
EEC2102 | 회로이론 1(circuit theory1) |
---|---|
전기 전자 회로의 기초, 저항, 커패시터, 인덕턴스 회로, 마디 및 루프해석법, 연산 증폭기 해석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회로의 해석과 설계 기법을 공부한다. |
EEC2104 | 전자기학 1(Electromagnetics 1) |
---|---|
벡터와 미적분학을 이용하여 전자기 현상을 지배하는 물리법칙을 배운다. 쿨롱의 법칙을 기반으로 전기장의 기본 공식을 이해한다. 포아송과 라플라스 방정식 등을 이용하여 전기장에 대해 깊이 이해하도록 한다. |
EEC2108 | 전자회로 1(Electronic Circuits 1) |
---|---|
Chapter 1 introduces the basic concepts of electronics. Signals, their frequency spectra, and their analog and digital forms are presented. Amplifiers are introduced as circuit building blocks and their various types and models are studied. Chapter 2 deals with operational amplifiers, their terminal characteristics, simple applications, and limitations. Chapter 3 is devoted to the study of the most fundamental electronic device, the pn junction diode. Chapter 4 and 5 deal with the two major elec |
EEC2106 | 디지털 논리회로(Digital Logic Circuit) |
---|---|
디지털 기초소자에 대한 이해을 바탕으로 Combinational 로직, Sequential 로직회로의 설계 기법을 배우며, 이를 Verilog로 구현하는 실습을 수행한다. 강의 시간에 배운 지식을 바탕으로 기말 설계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전기전자컴퓨터 분야의 기초과목으로서 고학년 디지탈 하드웨어관련 전공과목들의 공통 기본지식으로 활용된다. |
EEC4100 | 전기전자종합설계(Capstone Design) |
---|---|
기술 문서 작성법, 발표 자료 제작 방법, 발표 기술 등을 교육하고 실제적으로 현실 문제를 직접 선정하거나 지정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학문적 해결 방안을 스스로 제시 또는 개발한다. 그리고 프로젝트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아 팀별 설계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실제 문제의 해결 능력을 경험하도록 한다. |
EEC2200 | 객체지향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 |
---|---|
객체지향언어의 개념과 그 문법을 터득하여 공학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프로그래밍 언어의 6가지 기본문장(치환문, 입력문, 출력문, 조건문, 반복문, 함수)과 4가지 기본 데이타구조(단순변수, 배열, 구조체, 포인터)를 C++ 언어에 대해 차례로 설명하고 실습을 통해 익히도록 한다. |
EEC2204 | 전자기학 2 (Electromagnetics 2) |
---|---|
전자기학 1에 이어 전자기장을 보다 심화학습한다. Biot-Savart의 법칙을 통해 자기장을 공부하고, Maxwell의 방정식을 통해 전자기파를 이해한다. 전자기파의 매질 통과 원리를 통해 도파관의 원리 등을 이해한다. |
EEC2202 | 회로이론 2 (Engineering Circuits Analysis 2) |
---|---|
회로이론 1에서 학습한 회로기초지식을 바탕으로 주로 교류전원 인가시의 전기전자의 회로해석에 필요한 이론들을 학습하여 응용력을 배양한다. 특히 주파수 영역을 도입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익힘으로써 시야를 넓히고 고학년 과목에서 다루게 될 주파수 영역 해석법의 기초를 익힌다. 이를 위해 교류 전력과 에너지, 1차 및 2차 회로의 시간 응답, 복소 주파수와 회로망 함수, 유도 결합회로, 2포트 회로, 비사인파, 푸리에변환, 라플라스변환을 학습한다. |
EEC2206 | 전기전자물성 (Properties of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
재료의 결정 구조와 결함 및 불순물, 확산 등의 물성학의 기초 개념을 설명하고 반도체, 유전체, 자성체와 초전도체 등의 전기전자재료의 특성 및 응용 분야에 대하여 설명한 후에 광학적 특성에 대하여 다룸으로써 반도체 물성, 반도체 소자, 반도체 응용소자, 디스플레이 공학, 광전자 공학 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지식 기반을 구축하도록 한다. |
EEC2208 | 자료구조론 (Data Structure) |
---|---|
데이터 구조와 알고리즘의 설계, 분석 및 구현을 포함한 알고리즘에 대하여 학습한다. |
EEC3202 | 신호 및 시스템(Signals and Systems) |
---|---|
공학문제에 등장하는 연속형 및 이산형 신호들의 종류와 사례를 살펴보고, 이 신호들의 주파수성분을 분석하는 수학적기법들을 익힌다. 먼저 연속형 신호 및 시스템 분석에 적용하는 푸리에급수, 푸리에변환 및 라플라스변환의 정의와 성질을 살펴보고, 이 기법들을 시스템분석에 적용하는 기본적인 기법과 사례들을 익힌다. 이어서 샘플링이나 양자화과정을 거쳐 발생하는 이산형 신호 및 시스템에 대해 살펴보고, 이산형 신호 및 시스템 분석에 적용하는 이산 푸리에급수, 이산 푸리에변환 및 z 변환의 정의와 성질에 대해 정리한다 |
EEC3204 | 자동제어(Automatic Control) |
---|---|
Basic approaches are discussed for analysis of control system. Ordinary diffential equation, transfer function, block diagram and state equation are introduced to determine the stability of the system. In addition, transient and steady-state response of the output are investigated from varied theories, and typical PID controller design is discussed. Some simulations are made using Matlab package for verification of the control theories. |
EEC3208 | 전력시스템공학(Power Systems Engineering) |
---|---|
전기화에 따른 전력 수요의 급증과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하는 분산에너지자원의 도입으로 인해 전력시스템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현재 우리가 운영중인 전력시스템의 설계와 운영 기술에 대한 이해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이 강의에서는 변압기와 송전선로 등에 대한 수학적 모델링, 3상 교류 전력전송 이론과 조류해석 및 경제급전 등의 수치해석 등을 배우고 이를 전력시스템 해석에 활용하게 된다. |
EEC3210 | 확률변수(Random Variables) |
---|---|
이 강의에서는 확률 변수를 포함하는 선형 시스템의 해석에 필요한 기본적인 불규칙 신호의 특성과 랜덤 프로세스의 특성에 대해 학습한다. 먼저 확률 이론에 기초한 확률 변수를 정의하고, 관련된 1, 2차 모멘트에 대하여 배운다. 랜덤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흔히 쓰이는 랜덤 프로세스인 Gaussian/Poisson random process의 특성을 알아보고, 선형 불규칙 시스템 등의 해석에 필요한 Stationary process의 특징들에 대해서 학습한다. |
EEC3300 | 전자회로 2(Electronic Circuits 2) |
---|---|
차동 증폭기 설계, OP amp설, 피드백 증폭기 설계, 증폭기 주파수응답 이해및 설계, 전류원,전압원 설계, 필터회로 설계방법론을 배우고 SPICE활용하여 직접 설계및 시뮬레이션을 통한 검증을 한다. |
EEC3302 | 디지털시스템설계(Capstone Design of Digital Systems) |
---|---|
디지털 시스템 설계에 필요한 기본적인 이론과 방법을 다룬다. 디지털 시스템 설계를 위한 Hardware Description Language (HDL)인 Verilog HDL 을 익히고,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입출력 장치의 구조를 배운다. 고속 덧셈기, 곱셈기, 부동 소수점 연산기, FIR 필터 등 다양한 연산기의 설계 및 구현 방법을 배운다. 실험 시간에는 Verilog HDL을 이용하여 다양한 연산기를 설계하고, Xilinx ISE 툴 등 CAD 툴을 이용하여 기능적인 (functional) 시뮬레이션과 시간적인(Timing)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
EEC3400 | 기계학습개론(Introduction to Machine Learning) |
---|---|
인공지능 기술의 핵심적인 분야인 기계학습의 기초적인 내용을 다루는 4학년 2학기 전공 선택 과목으로서 기계학습의 전반적인 내용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며 최근 각광받고 있는 심층신경망에 대한 이론 습득 및 실데이터를 사용하여 실습 및 설계 프로젝트를 위한 교과목이다. |
EEC3402 | 컴퓨터구조론(Computer Architecture) |
---|---|
Computer architecture encompasses a set of core ideas that are applicable to the design or understanding of virtually any computer, from the tiniest embedded microprocessors to the most powerful supercomputers. |
EEC3500 | 전파공학(Radio Wave Engineering) |
---|---|
전파 공학의 이해 - 전송선로 - 확률변수 - 안테나 - 수신기 구조 |
EEC3502 | 통신시스템(Communication System) |
---|---|
This course deals with basic knowledge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The lecture contains signal and systems, linear systems, random variables and process. Then, based on these knowledge, we also delas with fundamental structures of telecommunication systems. |
EEC3600 | 수치해석(Numerical Analysis) |
---|---|
컴퓨터를 사용하여 과학 및 공학 분야에서 발생하는 여러 수학적 문제를 풀어내는 이론과 이에 따른 프로그래밍 기법을 익힌다.공학 분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들을 수학적으로 간단히 모델링하고, 이에 대한 근사적 해결 책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찾아내는 방법을 학습한다. |
EEC3602 | 전기전자계측(Electrical & Electronic measurements) |
---|---|
전기전자계측시스템의 기본 이론 및 회로를 소개하고, 계측기 구현원리와 응용에 관한 강의 후 4주간에 실제 측정한다. |
EEC3700 | 전력시스템 운영 밎 제어(Power System Operation and Control) |
---|---|
이 강의에서는 선수과목인 전력시스템공학에서 배운 전력시스템 설비 모델(변압기, 송전선로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전력계통의 이상 상황들을 해석하고(고장 계산, 보호협조, 과도 안정도), 실제 전력설비들을 활용하여 전력계통을 운영하고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하도록 한다. 최종적으로는 최근 들어 재생에너지와 분산에너지의 증가로 인해 점차 중요해지고 있는 배전계통과 전력시스템의 미래를 전망하도록 한다. |
EEC3304 | 반도체소자 1(Semiconductor Devices I) |
---|---|
본 강의에서는 각종 반도체 소자의 작동 원리와 모델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반도체소자 1]에서는 반도체 물성을 바탕으로 기본 반도체 공정 및 P-N 접합 이론을 심층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또한 가장 기본적인 반도체 소자인 다이오드의 작동 원리와 특성을 중점적으로 강의가 진행된다. |
EEC3305 | 반도체소자 2(Semiconductor Devices 2) |
---|---|
1학기에 배운 반도체와 다이오드의 특성 및 동작원리를 바탕으로 BJT/FET의 이론적 동작원리를 이해함으로써 아날로그회로 및 초고주파 회로의 설계를 위한 Physical 모델등의 이해를 증진한다. |
EEC3306 | 디지털집적회로설계(Digital Integrated Circuit Design) |
---|---|
As applied to digital integrated circuits, the CMOS transistor is studied in depth - from its fabrication to its electrical characteristics. Combinational, sequential, and dynamic logic circuits are considered. SPICE is used as both an analysis and design tools. Semiconductor memory circuits are also discussed. CAD Tools for circuit design, layout, extraction, and simulation will be used for Labs and projects. The emphasis of this class is hands-on chip design. |
EEC3308 | 아날로그 집적회로설계 (Analog Integrated Circuit Design) |
---|---|
통신, 센서, 계측기, 데이터 변환기 및 클럭킹 회로와 같은 아날로그 집적 회로 설계에 중점, 고성능 아날로그 증폭기 설계를 위한 주파수 응답과 같은 MOS 고급 회로 모델 이해 및 설계. 피드백 시스템을 사용한 실제 연산 증폭기, 밴드 갭 기준 및 ADC에 들어가는 핵심 회로를 Orcad Cadence CAD 소프트웨어 사용해 회로의 이해 심화. |
EEC4300 | 전자디스플레이 (Electronic Display) |
---|---|
최신 평판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의 대표주자인 LCD/PDP 및 차세대 주자로 대두되고 있는 OLED의 기초 동작원리 및 현 시점에서 바라본 특징, 장단점 및 향후 기술전망을 소개한다. FPD의 실제 사례 중, (AM)OLEDs, Flexible Displays 및 e-papers 의 기초동작원리, 구동기술, 제작기술 및 향후 응용/발전 전망을 소개한다. |
EEC4302 | 시스템반도체설계 (System on Chip Design) |
---|---|
본 과목은 시스템반도체(System on a Chip, SoC)의 기본 개념들과 구성 요소, 설계 플로우 등을 학습한다. 시스템반도체의 동작원리를 이해하고, 대표적 시스템반도체의 사례 연구를 통해 구체적인 회로 및 아키텍처 설계 기법을 습득하도록 한다. 시스템반도체의 핵심 구성 요소인 프로세서, 메모리, GPU, DSP, NPU 등의 디지털 집적회로 및 아키텍처 설계 방법을 배운다. 특히, 회로의 트랜지스터 레벨 설계를 기본으로 하여 동작원리, 설계 및 시뮬레이션을 통한 검증 등 기본개념의 이해와 회로 설계에 관하여 학습한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응용의 예로서 인공지능(AI) 시스템반도체의 핵심인 신경망처리장치(Neural Processing Unit, NPU) 동작 원리 및 기본 모듈의 설계 방법을 이해하고 학습한다. |
EEC4304 | 혼성신호집적회로설계 (Mixed Signal IC Capstone Design) |
---|---|
The course will cover the design methodologies and design of the comparators(both low speed and high speed), SHA(Sample and Hold Amplifie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and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
EEC4310 | MEMS개요 (Introduction to MEMS) |
---|---|
MEMS라 함은 IC 공정기술과 compatible한 일괄공정기술을 이용하여 제작된 전기적 또는 기계적 소자들이 함께 집적화 된 미세 Device 또는 System을 말합니다. 본 과목에서는 MEMS를 구현하기 위한 기본 미세가공기술인 Surface micromaching, Bulk micromaching, LIGA 가공공정등과 MEMS에 사용되는 Material들과 그 특성들을 알아보고 센서 및 actuator의 기본 개념, 원리, 및 미세 가공 공정을 학습한다. 그리고 case study로서 열센서, 압력센서, 가속도센서, 각속도센서, Bio 센서, SAW device등을 학습한다. |
EEC4314 | 광전자공학 (Optoelectronics) |
---|---|
Light-Matter 상호 작용을 살펴보고, 이에 기반한 Laser, Light Emitting Diode, Photo Diode, 전기광학 변조 등 광전자공학 기반 기술의 원리를 설명한다. 또, 이러한 광전자 기반 기술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LiDAR, Medical Imaging 등 다양한 정보통신 응용 시스템 기술들을 소개한다. |
EEC4330 | 반도체 기술 세미나 (Semiconductor Technology Seminar) |
---|---|
본 강좌에서는 기초 반도체 전공 지식을 포함하여 이를 기반으로 최신 반도체 산업체에서 활용되는 실무 기술에 대한 특강을 진행한다. |
EEC3406 | 시스템프로그래밍 (System Programming) |
---|---|
리눅스 시스템의 기본 작동원리 이해, 리눅스 시스템의 기본 시스템 콜 이해, 시스템 콜의 사용방법 이해, 주어진 문제의 해결에 필요한 시스템 콜의 선정 및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
EEC3410 | Java프로그래밍 (Java Programming) |
---|---|
객체지향형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전반적 내용을 학습한다. 변수와 할당문, 수학적 표현식, 입출력 방법, 흐름제어, 클래스 사용법, 자료 은폐화, 상속, 다형성 등을 학습하며, 실제 생활이나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방법을 배운다. |
EEC3412 | 컴퓨터네트워크 (Computer Network) |
---|---|
복잡한 컴퓨터네트워크의 체계적 동작원리, TCP/IP 프로토콜, 인터넷 응용 프로토콜(HTTP, FTP, SMTP, DNS),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멀티미디어 네트워크, 네트워크 보안 등을 학습한다. |
EEC3414 | 알고리즘설계 (Algorithm Capstone Design) |
---|---|
자료구조 및 알고리즘을 분석 및 설계하는 기법을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현하는 능력을 개발한다. 공학 분야의 다양한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고 그 구체적인 방법을 설계하고 구현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한다. |
EEC4402 | 컴퓨터비전 (Computer Vision) |
---|---|
강의의 전반부는 특징 검출 및 정합, 객체 영역화 및 추적, 카메라 기하학, 3차원 취득 기법 등의 저수준 컴퓨터비전 기법들의 이론과 응용 원리를 강의하고, 후반부는 객체 검출, 분류, 인식, 비디오 이해 등의 고수준 컴퓨터비전 알고리즘들과 최근 활발히 이용되는 심층학습기법에 관하여 학습한다. |
EEC4404 | 오디오신호처리(Audio Signal Processing) |
---|---|
강의의 전반부는 특징 검출 및 정합, 객체 영역화 및 추적, 카메라 기하학, 3차원 취득 기법 등의 저수준 컴퓨터비전 기법들의 이론과 응용 원리를 강의하고, 후반부는 객체 검출, 분류, 인식, 비디오 이해 등의 고수준 컴퓨터비전 알고리즘들과 최근 활발히 이용되는 심층학습기법에 관하여 학습한다. |
EEC4406 | 오퍼레이팅시스템 (Operating System) |
---|---|
Understand 5 basic concepts of OS: interrupt, process, file, memory, I/O - Read Linux kernel to realize how these concepts are implemented in an actual operating system -Modify Linux kernel to deepen the understanding |
EEC4408 | 데이터베이스설계 (Database Capstone Design) |
---|---|
데이타베이스의 필요성, 데이타베이스 모델링 및 설계, 데이타베이스 언어, 실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특성 및 기능 등을 공부하며 이를 실제 응용에 적용할 수 있도록 이론과 실습 교육(설계 및 구축)을 병행한다. |
EEC4412 | 정보보호론 (Information Security) |
---|---|
Basic system attach techniques are explained. Encryption techniques are introduced. SSL concepts are explained. |
EEC4414 | 심층신경망 (Deep Learning) |
---|---|
심층신경망에 관한 기초 지식과 활용 방법을 다룬다. 신경망 구조, 역전파, 최적화 등 심층신경망 시스템의 구성 요소와 트레이닝 방법 등을 배우고, 컴퓨터 비전과 자연어 처리 등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한 예시를 배운다. 또한 실용적 설계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Pytorch 등 딥러닝 관련 소프트웨어를 학습한다. |
EEC3504 | 전자장론 (Electromagnetic Field Theory) |
---|---|
전자기학1과 전자기학2의 내용을 복습하면서 맥스웰 방정식을 이용한 전자파의 전파특성, 전자파의 방사 및 안테나, 그리고 위성 통신등을 공부한다. |
EEC3506 | 마이크로웨이브공학 (Introductory Microwave Engineering) |
---|---|
마이크로파 공학 분야에 대한 이론과 실제 사례에 대하여 학습한다. 강의 내용은 먼저 마이크로웨이브 공학과 관련된 이론 위주로 강의식 강의를 실시하며, 현실적인 강의를 위하여 설계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실습 및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마이크로파 회로를 이해하고 산업체가 요구하는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
EEC4500 | 디지털통신 (Digital Communications) |
---|---|
최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기초 이론을 학습한다. 신호와 시스템의 배경, 디지털 변조, 복조, 오류 정정 부호화, 시스템의 비트 에러율, 채널 용량(데이터전송률) 등을 학습한다. |
EEC4502 | 마이크로웨이브시스템 (Microwave System) |
---|---|
본 과정을 통하여 마이크로웨이브/RF 분야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 무선통신시스템 개요 및 다중접속방식, 무선채널, 마이크로웨이브/RF 시스템 성능, 그리고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안테나, 저잡음 증폭기, 전력 증폭기, 발진기, 혼합기 그리고 주파수 합성기와 같은 고주파 무선통신회로에 대 해서 공부한다. 또한 다양한 무선통신 시스템(GSM/WCDMA/DMB/DVB-T/DVB-H)의 설계 사양에 대해서 학습한다. 본 과정에서 습득한 지식들은 사회에 진출하여 무선통신관련 업무를 수행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
EEC4506 | 인터넷프로토콜 (Internet Protocols) |
---|---|
인터넷 구조 및 주소체계, TCP/IP 표준 상세 내역, ICMP, DNS 및 응용 프로토콜등에 관한 심화 내용을 이론강의하며 Wireshark (프로토콜 분석 SW tool)를 이용하여 이론에서 배운 인터넷 프로토콜의 실제 동작 모니터링 및 실습과제를 수행한다. 또한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을 위한 윈도우 소켓 프로그래밍 교육 및 서버/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 구현에 관한 교육 및 실습과제 수행. |
EEC4508 | 이동통신 (Mobile Communication) |
---|---|
이동통신을 위한 기본적인 개념으로 변복조, 확률이론, 무선 채널, 채널코딩, 무선접속, 다중 접속에 대 해 학습하며, 셀룰라 개념 및 다양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대해 이해하고, 채널 할당, 프로토콜, 애드혹 네트워크, 무선LAN, 무선PAN에 대해 학습한다. |
EEC4510 | 무선통신네트워크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
최신의 무선통신의 기본 개념과 무선 통신 환경을 배움으로써 무선통신 환경으로부터 무선 통신시스템의 설계방법 배운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무선통신 기술을 다양한 방법으로 응용할 수 있는 내용을 배운다. |
EEC4512 | 정보및부호화이론 (Information and Coding Theory) |
---|---|
무선통신에 필요한 정보 이론과 부호화 방식의 개념과 설계를 익히고 이들의 성능을 분석한다. |
EEC4514 | 안테나공학 (Antenna Theory) |
---|---|
무선통신에 있어서 안테나는 필수적인 소자이며, 무선통신을 행하는데 있어서 전파전파에 대한 이해 또한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전파에 대한 기본 이론과 안테나의 방사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안테나의 종류와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안테나의 특성파라미터들과 전자장 이론 및 전파전파의 제반 현상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
EEC3604 | 전기회로실험(Electrical Circuit Experiments) |
---|---|
8-bit 마이크로콘트롤러인 ATmega128을 기반으로 설계된 실험용 보드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소자를 제어하는 방법을 실험 실습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기본구조를 이해하고 C언어, 어셈블리등을 ATmega128을 대상으로 직접 프로그램하여 구동하여 본다. 다양한 외부회로를 구성하여 마이크로콘트롤러와 인터페이스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더불어 변압기의 구조, 동작원리, 벡터도와 등가회로, 전압변동율, 결선법, 단락시험을 다루며 동기기 의 동작원리, 전압변동율을 실부하법, 동기임피던스법 및 기자력법에 의해 산정하며 산정법에 대하여 검토한다. |
EEC3606 | 센서공학(Sensor Engineering) |
---|---|
다양한 물리량 및 (생)화학량을 검출하는 센서 및 트랜스듀서 소자의 동작원리와 디바이스 제작기술, 신호처리 및 시스템 제작기술을 공부한다. 최근 각광을 받고있는 MEMS 기술에 기반을 둔 스마트 센서 및 멀티센서 등의 최근 개발동향과 향후 발전 전망에 대해 소개한다. 최근 센서소자의 설계 및 응용동향을 소개하고, 실제 응용사례를 공부한다. Ubiquitious Sensor Network(USN)의 개념과 향후 발전 전망을 소개한다. |
EEC3610 | 제어시스템설계(Control System Capstone Design) |
---|---|
본 강좌는 제어기에 대한 안정도 해석방법과 이를 바탕으로한 제어기 설계방법에 대하여 배운다. 제어할 대상 시스템을 정하고 이를 컴퓨터에 시뮬레이션하여 이 시스템을 대상으로 설계한 제어기를 적용하여 평가함으로써 설계목표에 맞게 설계되었는지를 검토한다. |
EEC3612 |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Embedded System Capstone Design) |
---|---|
임베디드 시스템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기본이 되는 전용 프로세서 및 범용 프로세서의 기본 개념을 학습한다. 더불어 대표적인 전용프로세서로 사용되는 다양한 Peripheral 들의 동작을 학습함으로써 시스템 설계에 필요한 지식을 학습한다. VHDL을 이용하여 전용 프로세서를 설계, 구현하는 과정을 직접 실습을 통해 학습한다. 8bit 범용프로세서인 실제 ATMEGA128을 기반으로 구동되는 라인트레이서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바이스 드라이버 개발을 경험해 보고 더불어 라인트레이서 제어시스템을 C를 이용하여 직접 구현해 본다. |
EEC4600 | 모터제어(Motor Control(Capstone Design)) |
---|---|
Electric motor의 기본 원리 및 구동 방법을 학습하고 C언어와 마이크로콘트롤러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motor를 구동하고 제어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
EEC4602 | 로봇공학(Robotics) |
---|---|
본 강의에서는 로봇 정역학, 로봇 동역학, 힘 제어, 로봇 이동 계획, 구동장치, 센서, 로봇 제어, 비선형 제어 알고리즘 등을 다룬다. |
EEC4604 | 자율주행 자동차 공학(Autonomous Vehicle Engineering) |
---|---|
1. 자율주행차 - GNSS/Camera/Lidar/Radar/Map/V2X 기반 센서 퓨젼 (ADAS 기술) 2. 자율주행 및 제어시스템 - 시스템 모델링, 자율차 다이나믹 모델 및 예측제어 등 |
EEC4606 | 컴퓨터제어(Computer Control(Capstone Design)) |
---|---|
주요하게 다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이산시스템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컴퓨터를 이용한 제어의 일반적인 시스템개론과 시스템안정성을 비롯한 시스템 Performance를 다룬다. 아울러 다양한 디지털 제어기법들을 소개한다. 해석을 위한 수학적 방법들로는 Z 변환, 차분방정식 등이 있으며,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기존 제어시스템 해석을 최소 2-3주간 복습한다. |
EEC4608 | 전기자동차 공학(Electric Vehicle Engineering(Capstone Design)) |
---|---|
본 교과목에서는 전기자동차 파워트레인을 구성하는 배터리, 전동기, 드라이브의 구조 및 특성에 대해 다루고 모터 드라이브의 제어방법에 대해 이해한다. 또한 충전기의 구조 및 방식을 분석하고 충전 인프라 운영방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
EEC4700 | 신재생에너지(New Renewable Energy) |
---|---|
화석연료의 부족과 온난화로 대표되는 지구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신재생에너지의 개발은 필수적이다. 신재생에너지는 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로 구분된다. 신에너지로는 연료전지, 수소에너지 등이 있고, 재생에너지로는 태양열, 태양광, 풍력, 해양에너지 등이 있다. 본 강의는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한 개요, 기본이론, 그리고 그 응용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
EEC4702 | 전력전자공학(Power Electronics(Capstone Design)) |
---|---|
전력용 반도체 소자를 소개하고 이를 이용한 다이오드 정류회로, DC/DC 컨버터, PWM 인버터, 공진펄스 인버터, 멀티레벨 인버터 등의 회로구성법과 동작원리를 설명하고 각 회로의 파형분석과 특성 해석에 대하여 강의한다. |
EEC4704 | 전기응용(Electric Application) |
---|---|
[1] 정전기 응용: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되는 정전기 현상의 기초를 이해하고, 산업 전반에 걸친 재해 및 장해 현상의 파악 및 그 방지대책/기술의 개요 및 향후 전망 [2] 광전기 응용: 광전발전 현상의 기초를 이해하고, 향후 미래 청정 에너지원의 하나로 각광을 받고 있는 태양전지의 기초원리, 다양한 기술방식의 이해 및 향후 응용 전망 [3] 전기화학 응용: 전기공학의 태동기부터 기술개발 및 응용의 역사를 같이 해온 전기화학의 기초를 이해 |
EEC4706 | 분산에너지시스템(Distributed Energy System) |
---|---|
다양한 분산에너지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적인 에너지 수급균형을 맞추는 분산에너지시스템을 다룬다. 먼저 개별적인 분산에너지자원들의 기술적 특성에 대해 배우고, 이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분산에너지시스템의 요소기술들을 다루도록 한다. 분산에너지자원에는 재생에너지, 에너지저장장치, 섹터커플링자원(전기자동차, 수소, 열) 등이 포함되며, 분산에너지시스템 요소기술에는 수요반응기술, 마이크로그리드 기술, 가상발전소 기술, NWA 기술, DSO 기술 등이 포함된다. |
EEC4708 | 에너지 변환용 대형 전력시스템의 이해(Theories and Applications of Power Systems for Electric Energy Conversion) |
---|---|
전력시스템 운용을 위해 필요한 다음의 전기 에너지 변환에 관련된 항목을 다룬다. 3상 전력이론, 변압기이론, 발전기 및 모터의 전기 에너지 이용 및 활용 측면을 다룬다. 특히, 변압기, 발전기, 전력전자는 대형 전력망 운용을 위한 대형 시스템을 그 대상으로 한다. |
EEC4710 | 전력전자응용(Motor Application) |
---|---|
인버터, 공진형인버터, 영전류 스위칭 컨버터, 영전압 스위칭 컨버터, Power Supplies 등의 동작원리와 특성등을 다루고, DC 전동기, 유도전동기 및 동기전동기의 속도제어법에 대하여 강의한다. |